
1. 퇴직금
한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지급하는 일시지급금
2. 퇴직금 지급 대상(조건)
1) 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2) 하나의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인 경우
: 4대보험 입사일과 무관하게 실제 근무를 시작한 날짜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함
(예시) 프리랜서(3.3%)로 근무하던 직원이 도중 4대보험에 가입한 경우라면, 프리랜서로 근무를 시작한 날부터 계산
** 계약직 혹은 정규직 여부에 관계 없음
3. 퇴직금 지급 기한
근로자가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나,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해 기일을 연장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 36조 :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 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 사유가 발생한 날(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경우,
그 다음 날부터 지급하는 날까지의 지연 일수에 대하여 연 100분의 40 이내의 범위에서 지연 이자를 지급해야 함.
4. 퇴직금 계산 방법
퇴직금은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은 경우에는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봄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 퇴직금 산정 기간 : 90일(89~92일)
- 평균임금 : 산정 급여 + 산정 상여금
** 산정 급여 : 퇴직금 산정 기간 동안의 총 급여
** 산정 상여금 : (퇴사 전 1년 동안의 상여금, 수당의 합계) x 90(퇴직금산정기간) / 365
'지식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지 봉투 작성 방법(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주소, 우편번호) (0) | 2022.10.12 |
---|---|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종류와 보험요율 (0) | 2022.09.26 |
개인형 irp 퇴직 연금 계좌로 퇴직금 지급하는 방법 (1) | 2022.09.23 |
퇴사 후 고용보험 실업급여 (구직급여) 신청 대상 방법 (1) | 2022.09.22 |
외국인 유학생 D-2 유학 비자 아르바이트(시간제) 고용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