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쌓기 6

편지 봉투 작성 방법(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주소, 우편번호)

회사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계약서나 법인 서류 등 우편물을 보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우편물을 보낼 때마다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를 기입해야 하는데, 작성할 때마다 알쏭달쏭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우편물을 보낼 때 편지 봉투 내용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편지 봉투의 구성 편지 봉투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 재질이며, 0.16~5mm 정도의 두께와 3~50g 정도의 무게로 제작됩니다. 가로 길이는 최소 140mm에서 최대 235mm, 세로 길이는 최소 90mm에서 최대 130mm까지 허용되며, 편지 봉투의 하단에는 우편물의 기계 처리를 위해 약 17mm 정도의 여백 공간이 필요합니다. (기계 처리를 위한 공백이 없는 경우, ..

지식쌓기 2022.10.12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종류와 보험요율

1. 4대보험이란 1) 4대보험의 개념 우리나라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질병, 장애, 실업, 노령, 사망 등)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과 소득의 보장을 위해 사회보험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크게 4가지 종류의 사회보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대사회보험은 ①국민연금 ②건강보험 ③고용보험 ④산재보험이 있고, 최저 생계 및 의료 보호 보장을 위해 연대성과 강제성이 적용됩니다. 2) 4대보험 가입 대상자 4대보험 가입 의무는 근로 유형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일반 근로자 사업장에 계속 고용되어 월 급여를 받는 경우를 의미하며, 계약직과 정규직, 수습이나 시용 등의 요건에 관계없이 4대보험 의무 가입 대상자로 구분됩니다. (1개월만 근무하는 경우라면 일용근로자로 처리 가능) 단, 법인 대표나 등기 임원의..

지식쌓기 2022.09.26

개인형 irp 퇴직 연금 계좌로 퇴직금 지급하는 방법

1. 개인형 irp 계좌로 퇴직금 지급 의무 (2022. 04. 14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 기존에는 DB형 혹은 DC형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된 사업장의 경우에 한해서만 퇴직금을 개인형 IRP 계좌로 지급하였습니다. 하지만 2022년 4월 14일부터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하지 않은 사업장도 근로자가 퇴직 시 개인형 IRP 퇴직연금계좌로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형 IRP 퇴직연금계좌로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 근로자가 55세 이후 퇴직하는 경우 - 퇴직 급여액이 300만 원 이하인 경우 - 근로자가 사망한 경우 -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제 23조 제1항에 따라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 자격으로 국내 근로를 제공하였고, 퇴직 ..

지식쌓기 2022.09.23

퇴사 후 고용보험 실업급여 (구직급여) 신청 대상 방법

1. 고용보험 실업급여 (구직급여)란?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실직한 후 재취업을 위한 활동을 하는 기간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급하여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 재취업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는 제도 ** 실업급여의 수급을 위해서는 사업주로에게 이직확인서 신고를 요청해야 함 2. 실업급여(구직급여) 지급 대상 -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에서 실직 전 18개월(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24개월) 중 피보험단위 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 근무할 것 - 근로 의사 및 능력이 있으나 비자발적인 사유로 이직하였고,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 수급자격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을 것 ** 수급자격제한사유 : 자발적 이직, 중대한 귀책사유로 인한 해고 - 일용직의 경우, 수급..

지식쌓기 2022.09.22

퇴직금 지급대상 지급기한 퇴직금 계산 방법

1. 퇴직금 한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지급하는 일시지급금 2. 퇴직금 지급 대상(조건) 1) 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2) 하나의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계속 근로한 근로자인 경우 : 4대보험 입사일과 무관하게 실제 근무를 시작한 날짜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함 (예시) 프리랜서(3.3%)로 근무하던 직원이 도중 4대보험에 가입한 경우라면, 프리랜서로 근무를 시작한 날부터 계산 ** 계약직 혹은 정규직 여부에 관계 없음 3. 퇴직금 지급 기한 근로자가 퇴직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나,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해 기일을 연장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 36조 :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

지식쌓기 2022.09.19